모두가 당연히 AI를 쓰는 세상에서
올해 봄, 카카오톡 프로필을 지브리 화풍으로 바꾸는 것이 인기를 끌었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3월 25일 OpenAI가 챗GPT-4o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출시하면서 지브리 프사 열풍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고, 챗GPT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단숨에 3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AI로 이런 것도 할 수 있어?”라는 감탄어린 놀라움은 곧 대중화로 이어졌죠.
AI가 일반의 삶까지 깊숙이 들어오면서, 기업과 업계도 새로운 숙제를 떠안게 됐습니다. 그것은 바로, 날로 새로워지는 AI를 업무에 더욱 유려하고 전문적으로 써야 한다는 부담인데요.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1)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78%가 AI 도입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실제 활용률은 3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대기업은 48.8%나 활용 중인 반면, 중소기업은 28.7%에 그쳤는데요. 도입의 필요성과 현실의 간극만큼이나 실무자들은 쫓기는 심정으로 지금도 고민하고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게다가 해외에서는 상황이 훨씬 앞서 있어요. 맥킨지가 2024년도 2분기에 실시한 설문2)에 따르면, 전 세계 기업의 78%가 이미 한 가지 이상의 업무에 AI를 도입했다고 답했습니다. 2022년 50%, 2023년 55%에서 단기간에 크게 증가한 수치인데요. AI를 쓰는 것이 당연해진 세상에서, AI가 업무 역량이 되는 이 시대에, AI를 어떻게 다루고 어떻게 취해야 할까요?
도대체 HR에서 AI를 어떻게 쓰죠?
기업 내 여러 직무 중에서도 HR은 특별합니다. HR은 단순 데이터가 아닌, ‘사람’을 다루는 직무이기 때문인데요. 인사, 채용, 노무, 교육처럼 ‘사람과의 대면이 필수’인 업무에서는 “AI가 우리 일을 대체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먼저 듭니다.
[HR의 특수성 ▶ 딜레마]
- 인사 성과를 수치화하고 싶지만 ▶ 데이터화하기 어려운 요소가 너무 많다
- AI로 업무 자동화를 만들고 싶지만 ▶ 결과를 100% 신뢰할 수 없을 듯?
- 결국엔 사람을 만나야 하는데 ▶ 여기서 AI가 무슨 소용일까?
그래서 HR에서는 AI를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AI로 업무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HR의 업무를 ‘업그레이드’하는 도구로 활용해야 하는 것이죠. 아주 똑똑한데 24시간 일해도 지치지 않는 강력한 비서(AI)를 통해 나(HR 담당자)는 더욱 고차원적인 전략과 의사 결정, 관계 구축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AI를 제대로 부리는 HR 예시]
- 채용 ▶ 다중 플랫폼 공고 한 번에 관리, 자동 이력서 스크리닝, 면접 일정 조율
- 인사/노무 ▶ 근태 관리 자동화, 규정 변경 실시간 알림
- 교육 ▶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생성, 피드백 자동화
그래도 HR의 경쟁력은 영원히, '사람을 이해하는 힘'
토론토대학교에서 재미있는 실험3)을 했습니다. 서로 호감이 있는 사람들을 짝 지은 후, A그룹은 대면으로 대화하게 하고 B그룹은 온라인 채팅으로만 대화하게 한 것인데요. 그 결과 온라인 채팅 B그룹은 대면 A그룹보다 상대에게 덜 질문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직접 대면하지 않으면 자기중심적이 되고, 깊이 있는 대화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HR 담당자의 가장 큰 무기는 타인의 표정, 시선, 작은 몸짓까지 읽어내는 능력입니다. 분석과 반복 작업은 AI에게 맡기고, 사람을 설득하고 관계를 만드는 본질적인 역량에 집중하는 것이 HR 경쟁력을 높이는 길인 것이죠. AI를 강력한 비서로 활용하면서, 사람을 향한 소통력을 더 크게 키워 보세요. 바로 아래에 손쉽게, 게다가 무료 체험으로 바로 쓰기 좋은 HR 전용 채용 AI 솔루션 한 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오직 HR을 위해, 부리기 좋은 채용 AI 솔루션 추천]
1️⃣복수의 채용 플랫폼에서 지원자 한 번에 관리
라운드HR은 사람인, 원티드, 잡코리아, 잡플래닛, 리멤버 등 업계 최다로 다중의 채용 플랫폼에서 흩어진 지원자들의 정보를 한 번에 불러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 기능 둘러보기
2️⃣AI 이력서 스크리닝
라운드HR은 이력서 스크리닝 설정을 통해 적확한 지원자를 1차 솔팅합니다. 수십, 수백건의 이력서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수고로움을 덜어주는 기능인데요. 경력, 학력 등 필수 조건을 직접 설정해 필터링할 수 있고, AI로부터 필터링 추천 조건을 제안 받을 수도 있어요. ▶ 기능 둘러보기
3️⃣면접 일정 조율 자동화
채용 지원자의 면접 일정을 정하고, 변경하고, 면접관에게 확정된 일정을 알리고, 면접 일정을 안내하는 모든 일을 자동화할 수 있어요. ▶ 기능 둘러보기
4️⃣AI 면접 질문 추천
현장 분위기에 휩쓸려 꼭 필요한 질문을 놓치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라운드AI는 JD와 이력서를 분석해 행동면접기반의 맞춤형 면접 질문과 후속 질문을 제안해요. ▶ 기능 둘러보기
5️⃣AI 데이터 분석 & 리포트
채용 단계별 지원자 수 그래프부터 지원 경로별 지원자 수 대조와 지원 경로별 전환율, 지원 단계별 추이까지 데이터 분석 리포트를 대시보드에서 한눈에 확인하세요. 여러 차트 폼에서 원하는 차트를 선택하거나 커스텀할 수도 있답니다. ▶ 기능 둘러보기
출처
- 국내 기업 AI 기술 활용 실태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2024.08
- Mckinsey Global Surveys on the state of AI, 2021-2024, Mckinsey & Company
- A Comparison of Conversational Quality in Online and Face-to-Face First Encounters, 2012
